냉각탑 기술요소 1. 냉각탑 용량표시 : 냉각탑의 용량은 표준냉각능력 톤으로 한다. 영문단위표기는 CRT(Cooling-tower Refrigeration Ton)로 한다. 표준냉각능력은 표준설계조건에서 순환수량이 0.78㎥/h (13lpm)일 때 1톤으로 한다. 표준설계조건은 냉각수 입구온도 37℃, 냉각수 출구온도 32℃, 입구공기 습구온도 27℃이다. 표준설계조건과 다를 경우, 표준냉각능력의 산정은 제조업체별로 다를 수 있다. 설계냉각 열부하를 표준냉각능력 1톤(CRT)의 냉각열량인 3,900 kcal/h로 나누어 계산하면 오산이 된다. 열량과 비례하지 않으므로 카탈로그의 변환계수를 활용하거나 전산프로그램으로 계산해야한다. 또한, 냉각탑에서는 “효율”의 표시와 개념은 사용하지 않음에 유의한다. 2...
냉각탑 Cooling Tower/냉각탑의 기초 Cooling Tower Fundamentals
2009. 11. 18. 09:09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TAG
- orlando
- 화재
- cooling tower
- 인천대공원
- 쿨링타워
- 파주개성인삼축제
- 냉각탑의 기초
- 관악산
- 장고항
- Eric Lafforgue
- 청량산
- 전범기업
- 삼풍
- 소래산
- 송도신도시
- 오봉산
- 원자로
- 일본기업
- 북한
- 눈꽃
- 붕괴사고
- 냉각탑
- 냉각탑의 종류
- 영변
- 관곡지
- 눈(영상)
- 삼풍백화점
- 우주왕복선
- 인천대교
- 제주도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